📈 2025년 7월 2주차 경제 핵심요약
🇺🇸 미국 증시 - 빅테크 강세, AI, 머스크 vs 트럼프, 관세 불확실성
7월 2주차 미국 증시는 엔비디아의 시가총액 4조 달러 돌파라는 상징적 이슈와 함께 나스닥 사상 최고치 경신으로 마감했습니다.
AI 관련 반도체, 전력 인프라, 클라우드 기업들이 시장을 주도하며 빅테크 중심 상승이 이어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변덕스러운 관세 정책 발언은 브라질, 캐나다 등 주요국에 대한 고율 관세 언급으로 시장에 불확실성을 더했으나, 시장은 협상용 발언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FOMC 의사록 발표에서는 금리 인하 기대 유지가 확인되며, 금리 인하 기대감은 증시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여기에 일론 머스크의 '아메리카당' 창당 움직임이 트럼프 공화당 지배력에 균열을 일으킬 수 있다는 분석이 등장하면서 정치적 불확실성을 키웠습니다.
이는 테슬라 주가 리스크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규제 압박 및 정부 정책 지원 불확실성이 로보택시, AI 비즈니스에 부담이 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업종별로는 금융, 항공, AI 관련주가 강세를 보였고, 테슬라는 로보택시 서비스 확대 기대감으로 급등하는 등 개별 종목 변동성이 컸습니다.
🇰🇷 국내 증시 - 정책 기대, 주도주 순환매 지속
국내 증시는 KOSPI가 연중 최고치 경신, KOSDAQ은 박스권 유지라는 상반된 흐름을 보였습니다.
정부의 증시 활성화 정책(자사주 소각, 배당소득 분리과세 등) 기대감과 외국인 수급이 KOSPI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반면, KOSDAQ은 대장주 부재와 정책 수혜주 부족으로 소외된 모습입니다.
외국인은 5일 연속 코스닥 순매수하며 중소형주에 대한 관심을 보였고, 삼성전자 20일선 지지 여부가 여전히 시장 관전 포인트였습니다.
업종별로는 반도체, 2차전지, 방산, 조선 등 기존 주도주에서 순환매가 진행 중이며, 엔터, 화장품 등 한중 관계 개선 기대 섹터도 꾸준한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의 금리 동결과 반도체 수출 호조가 국내 증시의 긍정적인 배경으로 작용했습니다.
₿ 비트코인 - 사상 최고가, 채굴/AI 기업 주목
비트코인은 7월 2주차에 들어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며 시장 관심이 다시 높아졌습니다.
이는 단순 가격 상승이 아닌, 비트코인 채굴 기업들이 AI 데이터센터 사업으로 확장하며 새로운 수요를 확보하고 있는 점이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비트코인 채굴 ETF(WJMI) 등 관련 금융상품도 강세를 보이며, 암호화폐 시장 내 온체인 결제 확대, 스테이블코인 성장과 맞물려 주목받고 있습니다.
다만, 비트코인 급등은 위험자산 선호 회복과 맞물려 있어 변동성 확대에도 유의해야 합니다.
👉 비트코인에 대해서 알고 싶나요? - 비트코인 시리즈 바로가기
📝 정리 포인트
🇺🇸 미국 증시 정리 포인트
• 엔비디아, 나스닥 사상 최고치
• 금리 인하 기대 지속, 관세 불확실성 부담
• 일론 머스크, 트럼프 리스크 → 테슬라 주가 주의
• AI, 금융, 항공주 중심 강세
🇰🇷 국내 증시 정리 포인트
• KOSPI 최고치, 정책 모멘텀 지속
• 코스닥 박스권, 중소형주 외국인 순매수 지속
• 반도체, 2차전지, 방산, 조선 순환매 흐름 유지
₿ 비트코인 정리 포인트
• 사상 최고가 경신
• 채굴 기업, AI 데이터센터 등 신규 모멘텀 부각
• 관련 ETF 강세, 온체인 결제 수요 확대
🗓️ 2025년 7월 3주차 미국 경제 일정 (7월 15일 ~ 7월 18일)
📘 7월 15일 (화)
오후 9:30, KST – 미국 소비자물가 발표 (CPI, Core CPI)
Core Inflation Rate MoM (근원 소비자물가 월간)
• 이전: 0.1% / 전망: 0.2%
Core Inflation Rate YoY (근원 소비자물가 연간)
• 이전: 2.8% / 전망: 2.9%
Inflation Rate MoM (소비자물가 월간)
• 이전: 0.1% / 전망: 0.2%
Inflation Rate YoY (소비자물가 연간)
• 이전: 2.4% / 전망: 2.5%
중점 내용:
물가 둔화 속도에 따라 연준의 금리 인하 스케줄을 가늠할 수 있는 주요 지표.
시장 반응 예측:
• ➕ 예상보다 둔화 시, 금리 인하 기대 재부각 → 기술주 상승 가능
• ➖ 예상보다 상승 시, 인하 지연 우려 → 변동성 확대
📘 7월 16일 (수)
오후 9:30, KST – 미국 생산자물가 (PPI)
PPI MoM (생산자물가 월간)
• 이전: 0.1% / 전망: 0.3%
중점 내용:
소비자물가에 앞서는 선행지표로, 인플레이션 둔화 여부 확인에 중요.
시장 반응 예측:
• ➕ 둔화 시, 금리 인하 기대 지속
• ➖ 급등 시, 긴축 우려 재부각
📘 7월 17일 (목)
오후 9:30, KST – 미국 소매판매 (Retail Sales)
Retail Sales MoM (소매판매 월간)
• 이전: -0.9% / 전망: 0.2%
중점 내용:
미국 소비심리와 경기 탄력 확인 지표.
시장 반응 예측:
• ➕ 회복 시, 경기 연착륙 기대
• ➖ 부진 지속 시, 경기 둔화 우려
📘 7월 18일 (금)
오후 9:30, KST – 미국 주택지표 발표
Building Permits (주택 허가)
• 이전: 1.394M / 전망: 1.37M
Housing Starts (주택 착공)
• 이전: 1.256M / 전망: 1.29M
오후 11:00, KST –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
Michigan Consumer Sentiment (Preliminary)
• 이전: 60.7 / 전망: 60.5
중점 내용:
부동산과 소비 심리는 미국 내수 경기 흐름 판단에 중요.
시장 반응 예측:
• ➕ 주택/소비심리 개선 시, 리스크 자산 선호 확대
• ➖ 악화 시, 방어적 자산 선호 강화
📌 2025년 7월 3주차 핵심 투자 포인트
1. 미국 CPI 발표 이후, 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
7월 15일 발표될 미국 소비자물가 (CPI) 결과가 이번 주 가장 중요한 이벤트입니다.
최근 시장은 금리 인하 기대감에 베팅하고 있으나, 물가가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 변동성 확대가 불가피합니다.
• 예상보다 둔화 시 ➔ 나스닥, AI, 반도체, 빅테크 강세 지속
• 예상보다 강하게 나오면 ➔ 금리 인하 기대 후퇴, 조정 가능성
2. AI·반도체·전력 인프라 중심의 주도주 지속
엔비디아, 테슬라 등 AI 관련 핵심 기업의 실적 기대와 함께 AI 인프라 투자 확대가 지속되는 가운데,
반도체, 2차전지, 전력 인프라 관련 종목의 순환매 흐름은 계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엔비디아 4조 달러 돌파 이후 AI 테마 지속 관심 필요.
3. 비트코인 사상 최고가… 관련 투자심리 회복
비트코인이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면서 채굴 기업, ETF, 스테이블코인, 온체인 서비스 관련 수혜 기대.
• AI 데이터센터와 연결된 채굴 기업 수요 확대
• 위험자산 선호 확대 시 추가 상승 가능
4. 국내 증시 - 정책 기대감, KOSPI 최고치 경신 모멘텀
한국 증시는 정부 정책 기대감(자사주 소각 의무화, 배당소득 분리과세, 상법 개정 등)과
외국인 수급 회복세 덕분에 KOSPI 최고치 갱신 중.
반도체·2차전지 등 기존 주도주 중심으로 순환매 지속 예상.
KOSDAQ은 박스권 탈피 시도가 이어지지만, 대장주 부재로 주도주 선택 중요.
5. 단기 전략: 수익 실현과 방어적 포트폴리오 병행
• 변동성 확대 가능성(미국 CPI 등)을 고려해 수익 실현 구간 확보 필요
• 반도체, AI 등 장기 유효 섹터 비중 유지
• 비트코인 관련주, 리튬/2차전지 등 테마 변동성 주의
• 한국은 정책 수혜 섹터 중심 분할 접근 유지